알면 쏠쏠한 이야기

가족 간 계좌이체, 세금 폭탄 피하는 방법은? (공찬규 세무사) 2.

Lena Jo 2023. 11. 14. 10:00

가족 간 계좌이체, 세금 폭탄 피하는 방법은?



가족 간 계좌이체는 일상생활에서 흔히 발생하는 일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계좌이체가 세금과 관련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세무사 공찬규 님은 김작가 tv의 영상에서 가족 간 계좌이체에 대한 세금 관련 정보를 자세하게 설명해 주셨습니다. 이 글에서는 그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가족 간 계좌이체란?


가족 간 계좌이체란 부모, 자녀, 배우자, 형제자매 등 가족 관계에 있는 사람들이 서로 계좌를 통해 돈을 주고받는 행위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부모님이 자녀에게 생활비를 보내주거나, 자녀가 부모님의 의료비를 대신 내주거나, 배우자가 서로의 계좌로 돈을 옮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족 간 계좌이체가 세금과 어떤 관련이 있나요?


가족 간 계좌이체는 세법상 증여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증여란 재산을 무상으로 양도하는 행위를 말하며, 증여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증여세는 증여받은 사람이 내야 하는 세금으로, 증여받은 금액과 증여자와의 관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증여세의 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증여세는 매년 한 번, 5월 31일까지 세무신고를 해야 합니다. 세무신고를 하지 않거나, 신고한 금액보다 실제로 증여받은 금액이 더 많은 경우, 세무조정을 통해 추가로 세금을 내야 할 수 있습니다. 이때, 세무조정은 세무당국이 가족 간의 계좌이체 내역을 파악하여 실제 증여받은 금액을 산정하는 과정입니다. 세무조정을 받으면, 세금 외에도 가산세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를 세금 폭탄이라고 부릅니다.

 

세금 폭탄을 피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가족 간 계좌이체를 할 때, 세금 폭탄을 피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증여의사가 없는 경우, 증거자료를 보관하라.
가족 간 계좌이체는 증여의사가 없는 경우에도 증여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모님이 자녀에게 생활비를 보내주는 경우, 자녀가 부모님의 의료비를 대신 내주는 경우, 배우자가 서로의 계좌로 돈을 옮기는 경우 등은 증여의사가 없는 계좌이체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증거자료를 보관하여, 세무조정을 받을 때 증여의사가 없음을 입증할 수 있습니다. 증거자료로는 계좌이체 목적을 적은 통장 메모, 계좌이체와 관련된 계약서나 증빙서류, 가족 간의 대화 내용 등이 있습니다.

증여의사가 있는 경우, 증여세 감면을 이용하라.
가족 간 계좌이체가 증여의사가 있는 경우에는 증여세를 내야 합니다. 하지만, 증여세에는 다양한 감면 조항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모님이 자녀에게 주택을 증여하는 경우, 주택 증여세 감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택 증여세 감면은 증여받은 주택의 시가의 50%에 해당하는 금액을 증여세에서 공제해 주는 제도입니다. 다른 감면 조항으로는 교육비 증여세 감면, 의료비 증여세 감면, 장애인 증여세 감면 등이 있습니다. 증여세 감면을 이용하려면, 증여세 신고 시에 감면 신청서와 관련 증빙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증여의사가 있는 경우, 증여세를 절세하라.
증여세를 절세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증여받은 금액을 분할하여 신고하라. 증여세는 증여받은 금액에 따라 세율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따라서, 한 번에 큰 금액을 증여받는 것보다, 여러 번에 적은 금액을 증여받는 것이 세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모님이 자녀에게 5억 원을 증여하는 경우, 한 번에 증여받으면 증여세는 2억 원 초과 금액에 10%의 세율이 적용되어 2천만 원이 됩니다. 하지만, 5년에 걸쳐 매년 1억 원씩 증여받으면 증여세는 3억 원 초과 금액에 10%의 세율이 적용되어 1천만 원이 됩니다. 즉, 1천만 원의 세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증여자와의 관계를 고려하라. 증여세는 증여자와의 관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따라서, 증여자와의 관계가 세율이 낮은 경우에 증여받는 것이 세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모님이 자녀에게 5억 원을 증여하는 경우, 자녀가 증여받으면 증여세는 2천만 원이 됩니다. 하지만, 부모님이 배우자에게 5억 원을 증여하고, 배우자가 자녀에게 5억 원을 증여하는 경우, 증여세는 1천만 원이 됩니다. 즉, 1천만 원의 세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증여받은 금액을 투자하거나 저축하라. 증여받은 금액을 그대로 보관하는 것보다, 투자하거나 저축하는 것이 세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투자하거나 저축하면, 증여받은 금액이 증가하거나 이자가 발생합니다. 이때, 증가한 금액이나 이자는 증여세의 과세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부모님이 자녀에게 1억 원을 증여하는 경우, 자녀가 그 금액을 그대로 보관하면 증여세는 없습니다. 하지만, 자녀가 그 금액을 투자하여 2억 원으로 늘리면, 증여세는 여전히 없습니다. 즉, 1억 원의 수익을 세금 없이 얻을 수 있습니다.
 



가족 간 계좌이체는 세금과 관련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세무사 공찬규 님은 김작가 tv의 영상에서 가족 간 계좌이체에 대한 세금 관련 정보를 자세하게 설명해 주셨습니다. 이 글에서는 그 내용을 정리하고, 세금 폭탄을 피하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가족 간 계좌이체를 할 때, 증거자료를 보관하고, 증여세 감면을 이용하고, 증여세를 절세하는 방법을 활용하면, 세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가족 간 계좌이체를 할 때, 세금과 관련된 사항을 잘 확인하고, 세무신고를 정확하게 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가족 간 계좌이체 '이렇게' 안 하면 결국 세금 폭탄 맞습니다(공찬규 세무사)' 김작가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