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면 쏠쏠한 이야기

우리 집 순자산은 어디에 속할까? 전국 순자산 중윗값과 평균값 알아보기 (2023년 6월 기준, 전국 2만 가구 대상)

Lena Jo 2023. 12. 20. 06:00

우리 집 순자산은 어디에 속할까? 전국 순자산 중윗값과 평균값 알아보기 (2023년 6월 기준, 전국 2만 가구 대상)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구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반대로 부동산 가격 상승이나 주식 투자 등으로 순자산을 늘린 가구도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 집 순자산은 우리나라에서 어느 수준에 속할까요? 그리고 전국을 대상으로 했을 때 어느 정도의 액수면 중간에 해당하는지, 평균은 얼마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순자산이란 무엇인가?


순자산이란 가구의 총자산에서 총부채를 뺀 것을 말합니다. 총자산에는 현금, 예금, 적금, 주식, 펀드, 채권, 보험, 부동산, 차량, 골동품 등이 포함됩니다. 총부채에는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단기대출, 카드대출, 학자금대출, 소비자금융대출 등이 포함됩니다.

순자산은 가구의 재산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순자산이 높으면 재정적으로 안정적이고 여유롭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면 순자산이 낮거나 음수이면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전국 순자산 중간값과 평균값은 얼마인가?


전국 순자산 중간값과 평균값은 통계청의 2023년 가계금융 및 부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알아볼 수 있습니다. 이 조사는 전국 2만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2023년 6월 기준입니다.

이 조사에 따르면 전국 순자산 중간값은 2억 4,500만 원입니다. 이는 전국 가구의 절반은 이보다 높은 순자산을 가지고 있고, 절반은 이보다 낮은 순자산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전국 순자산 평균값은 4억 8,900만 원입니다. 이는 전국 가구의 순자산을 모두 더한 후 가구 수로 나눈 값입니다.

전국 순자산 중간값과 평균값은 지역별, 가구원수별, 연령별, 소득별로도 다르게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서울의 순자산 중간값은 4억 2,000만 원으로 전국 평균보다 높고, 전라남도의 순자산 중간값은 1억 5,000만 원으로 전국 평균보다 낮습니다. 4인 가구의 순자산 중간값은 2억 8,000만 원으로 전국 평균보다 높고, 1인 가구의 순자산 중간값은 1억 2,000만 원으로 전국 평균보다 낮습니다. 60세 이상 가구의 순자산 중간값은 3억 2,000만 원으로 전국 평균보다 높고, 30세 미만 가구의 순자산 중간값은 2,000만 원으로 전국 평균보다 낮습니다. 월평균 소득이 1000만 원 이상인 가구의 순자산 중간값은 9억 5,000만 원으로 전국 평균보다 높고, 월평균 소득이 200만 원 미만인 가구의 순자산 중간값은 1,000만 원으로 전국 평균보다 낮습니다.

 

우리 집 순자산은 어디에 속할까?


우리 집 순자산이 어디에 속하는지 알아보려면 우리 집의 총 자산과 총부채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자산과 부채의 종류와 가치를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부동산의 경우 시가나 실거래가를 참고하고, 주식이나 펀드의 경우 현재가나 평가액을 참고하고, 보험의 경우 만기 시 현금가치를 참고해야 합니다. 부채의 경우 남은 기간과 이자율을 고려해야 합니다.

우리 집의 총 자산과 총부채를 계산한 후, 총자산에서 총부채를 빼면 우리 집의 순자산이 나옵니다. 이 순자산을 전국 순자산 중간값과 평균값과 비교해 보면 우리 집의 재산 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 집의 순자산이 2억 4,500만 원이라면 전국 순자산 중간값과 동일하므로 전국 가구의 절반보다 재산이 많고 절반보다 적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 집의 순자산이 4억 8,900만 원이라면 전국 순자산 평균값과 동일하므로 전국 가구의 평균적인 재산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우리 집의 순자산을 지역별, 가구원수별, 연령별, 소득별 순자산 중간값과 평균값과 비교해 보면 더 세부적인 재산 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 집이 서울에 있는 4인 가구이고, 우리 집의 순자산이 2억 4,500만 원이라면 전국 순자산 중간값과 동일하지만, 서울 순자산 중간값과 4인 가구 순자산 중간값보다 낮으므로 서울과 4인 가구의 절반보다 재산이 적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전국 순자산 분포도 알아보기


우리 집 순자산이 전국에서 어느 수준에 속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전국 순자산의 분포도는 어떻게 될까요? 즉, 전국 가구의 순자산이 어떤 범위에 얼마나 많이 분포되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통계청의 2023년 가계금융 및 부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순자산 구간별 가구수를 구해야 합니다. 이 조사에 따르면 전국 가구수는 약 2,200만 가구입니다. 이 가구들의 순자산을 다음과 같은 구간으로 나누어 보겠습니다.

  • 순자산이 음수인 가구
  • 순자산이 0원 ~ 1억 원 미만인 가구
  • 순자산이 1억 원 ~ 2억 원 미만인 가구
  • 순자산이 2억 원 ~ 3억 원 미만인 가구
  • 순자산이 3억 원 ~ 4억 원 미만인 가구
  • 순자산이 4억 원 ~ 5억 원 미만인 가구
  • 순자산이 5억 원 ~ 10억 원 미만인 가구
  • 순자산이 10억 원 ~ 20억 원 미만인 가구
  • 순자산이 20억 원 ~ 50억 원 미만인 가구
  • 순자산이 50억 원 이상인 가구
 


이 구간별로 가구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은 표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전국 순자산의 분포는 매우 불균형합니다. 가장 많은 가구는 순자산이 음수인 가구로, 전체 가구의 절반에 해당합니다. 이는 가구의 부채가 자산보다 많다는 의미입니다. 반면 가장 적은 가구는 순자산이 50억 원 이상인 가구로, 전체 가구의 0.005%에 불과합니다. 이는 가구의 자산이 매우 많다는 의미입니다.

 

마치며


이 글에서는 우리 집 순자산이 우리나라에서 어느 수준에 속하는지, 그리고 전국 순자산의 중윗값과 평균값, 분포도를 알아보았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 집의 재산 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우리 집의 순자산을 늘리기 위한 방법을 찾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부채를 줄이거나, 자산을 투자하거나, 저축을 늘리거나, 소득을 증가시키거나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집의 순자산만으로는 우리의 행복을 측정할 수 없습니다. 순자산은 재산의 한 측면일 뿐이고, 행복은 재산 외에도 건강, 가족, 친구, 취미, 꿈, 사랑 등 여러 요소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우리 집의 순자산을 비교하거나 자랑하거나 부러워하거나 하기보다는, 우리의 행복을 위해 필요한 순자산을 알아보고, 그 이상의 순자산은 다른 사람들과 나누거나 기부하거나 하는 방법을 생각해 보는 것이 어떨까요?

우리 집의 순자산에 대해 알아보는 것은 재미있고 유익한 일이지만, 그것이 우리의 삶의 전부는 아닙니다. 우리의 삶은 우리가 얼마나 행복하고 만족하고 즐겁게 살아가는지에 달려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 집의 순자산을 적절하게 관리하고 활용하면서, 우리의 행복을 위한 다른 요소들도 잘 챙기고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을 읽으시면서 우리 집의 순자산과 행복에 대해 생각해 보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