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재명 대선후보 선거법 위반 상고심, 대법원 선고일 5월 1일 확정 - 피선거권 박탈 여부 관건

by Lena Jo 2025. 4. 29.
반응형

이재명 대선후보 선거법 위반 상고심, 대법원 선고일 5월 1일 확정 - 피선거권 박탈 여부 관건

 

대법원 선고일 및 장소

 

  • 선고일: 2025년 5월 1일(목) 오후 3시
  • 장소: 서울 서초구 대법원 대법정
  • 재판부: 대법원 전원합의체
  • 사건번호: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상고심

전원합의체 회부 9일 만에 선고가 결정되었으며, 이례적으로 신속한 절차가 진행됐다.

 

 

사건 개요

 

본 사건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2021년 대선 국면 중 진행한 두 건의 공개 발언이 문제시된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다.

  • 1차 쟁점: “김문기 전 처장을 알지 못했다”는 발언
  • 2차 쟁점: “백현동 부지 용도변경은 국토부의 압박 때문”이라는 발언

검찰은 이 발언들이 허위사실 공표에 해당한다고 보고 기소하였다.

 

 

재판 결과 및 일정

 

  • 1심 (2023년 11월): 일부 발언 유죄 인정 →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 2심 (2024년 3월 26일): 전면 무죄 선고
  • 상고심 심리 (2025년 4월 22일, 24일): 전원합의체 심리 2회 진행
  • 최종 선고일: 2025년 5월 1일

 

법적 쟁점

  • 김문기 관련 발언:
    • 1심: “골프를 치지 않았다”는 발언이 허위라는 점을 근거로 유죄 판단
    • 2심: 발언의 맥락상 허위사실 공표로 보기 어려워 무죄
  • 백현동 관련 발언:
    • 국토부 압박 발언이 실제 외압 여부와 관계없이 발언 취지 해석상 무죄

쟁점은 허위사실 공표의 범위 및 정치인의 발언 자유의 한계를 어떻게 해석할지에 있다.

 

 

향후 전망

대법원의 선고 결과에 따라 이재명 후보의 피선거권 유지 여부가 결정된다. 유죄 확정 시, 공직선거법상 피선거권이 제한되며, 이는 대선 출마 불가로 이어질 수 있다. 무죄 확정 시, 정치적 부담을 덜고 대선 행보에 긍정적 영향을 줄 전망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