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면 쏠쏠한 이야기

서울 원룸 월세 상승률, 10년 사이 42.2%로 최고치… 작은 평형일수록 더 높아

Lena Jo 2023. 9. 18. 11:00

서울 원룸 월세 상승률, 10년 사이 42.2%로 최고치… 작은 평형일수록 더 높아

 

출처:뉴시스

 



서울에서 원룸을 구하려는 사람들에게 좋지 않은 소식입니다. 올해 8월 서울에서 거래된 연립다세대 원룸의 평균 월세가 최근 10년 사이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작은 평형일수록 월세가 더 가파르게 오르고 있어 대학생과 사회초년생을 비롯한 원룸 거주자의 주거 부담이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을 운영하는 스테이션 3가 14일 발표한 내용입니다. 스테이션 3은 국토교통부가 집계하는 실거래가를 토대로 2013년 8월부터 올해 8월까지 서울 연립다세대 원룸 월세 거래 12만 2819건을 들여다보고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지난달 거래된 서울시내 전용면적 33㎡ 이하 연립다세대 원룸의 평균 월세는 69만 원으로 전년 동월 56만 원 대비 24.3% 올랐습니다. 이번 상승폭은 지난 10년간 8월을 기준으로 한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 가운데 가장 높았습니다. 2013년부터 올해까지 전년 동월 대비 월세가 하락한 해는 2018년과 2020년뿐이었습니다.


 



지난달 서울 연립다세대 원룸의 평균 월세는 2013년 8월 49만 원과 비교해 10년 사이 42.2% (20만 원) 상승했습니다. 즉, 원룸 거주 비용이 평균적으로 연간 240만 원 늘었다는 의미입니다.

10년 동안 서울에서도 월세가 많이 오른 자치구는 중랑구, 강북구, 금천구, 동대문구, 용산구 순이었습니다. 가장 크게 뛴 중랑구는 2013년 8월 44만 원에서 지난달 79만 원으로 80.2% (35만 원) 올랐습니다. 즉, 10년 전에 비해 1년간 420만 원을 더 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같은 기간 강북구가 74.3%로 뒤를 이었고 금천구 (68.5%)와 동대문구 (67.8%)도 70%에 가까운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이들 외에도 서울 대부분 지역이 두 자릿수 오름세를 기록했습니다.

 


다만 노원구는 10년간 원룸 월세가 43만 원에서 44만 원으로 1만 원 오르는 데 그쳤습니다. 물가상승률을 감안하면 월세 부담이 다른 지역과 달리 감소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평균 월세 상승률은 중소형 평수 (전용면적 33㎡ 초과∼66㎡ 이하) 주택보다 전용면적 33㎡ 이하 원룸에서 더 컸습니다. 중형 평수 주택의 평균 월세가 지난 10년간 63만 원에서 84만 원으로 33.5% 오르는 동안 원룸은 42.2% 상승하며 10% 포인트 가까이 더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다방 관계자는 “최근 1인 가구 증가와 함께 역전세난 이슈가 겹치며 올해 평균 월세 상승률이 두드러진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작은 평형일수록 월세가 더 가파르게 오르고 있어 원룸 거주자의 주거비 부담이 앞으로 더욱 심화할 것으로 우려된다”라고 말했습니다.

 


서울 원룸 월세가 계속 상승하고 있는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저렴하고 편리하게 원룸을 구할 수 있을까요? 다방 등 부동산 플랫폼에서 서울시내 전체 연립다세대 원룸의 실거래가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필요한 조건에 맞는 매물을 찾아주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서울 원룸 월세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부동산 플랫폼(다방, 직방, 네이버 부동산, 호갱노노 등) 서비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
작을수록 더 올랐다’… 서울 원룸 월세 평균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