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면 쏠쏠한 이야기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20주 연속 상승…왜 그럴까?

Lena Jo 2023. 7. 23. 12:22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20주 연속 상승… 왜 그럴까?

 

서울 여의도 63스퀘어 전망대에서 바라본 아파트단지 모습. 2023.7.19/뉴스1 ⓒ News1 박세연 기자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가 20주 연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반면 지방은 소폭 하락했습니다. 서울은 8.4 대책 이후 신규공급이 증가하고, 금리 인상에 따른 전세난 해소 기대감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의 상승 원인과 향후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20주 연속 상승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7월 3주 (1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87.0으로 전주 (86.5) 대비 0.5P 올랐습니다. 지난 2월 4주 (66.3) 저점을 찍은 뒤 20주 연속 상승이라는 놀라운 기록을 세웠습니다.

매매수급지수는 수요와 공급 비중을 지수화한 것으로, 기준선(100) 보다 낮으면 공급이 수요보다 많고, 높으면 수요가 공급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가 강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서울 권역별로 보면, 동북권과 도심권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동북권 매매지수는 88.0으로 전주 (87.0)보다 1.0P, 도심권 매매지수는 88.6으로 전주 (87.9)보다 0.7P 상승했습니다. 반면, 강남 3구가 포함된 동남권 매매지수는 89.2로 전주 (89.3)보다 0.1P 하락했습니다.

서울 전세수급지수도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7월 3주 서울 전세수급지수는 89.1로 전주 (88.9)보다 0.2P 높아졌습니다.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상승 원인은?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가 상승하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정부의 8.4 대책 이후 신규공급이 증가한 것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정부는 지난해 8월 서울과 수도권에 대규모 신규공급을 발표하면서, 공공택지와 국방부 택지 등을 활용해 13만 가구를 추가 공급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따라 올해 초부터 서울에서 다양한 규모와 위치의 신규분양이 진행되었으며, 이는 매수자들의 선택 폭을 넓혔습니다.

둘째, 금리 인상에 따른 전세난 해소 기대감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지난 7월 15일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인상하면서, 3년 만에 금리 인상에 나섰습니다.

금리 인상은 대출 이자가 증가하면서, 전세자금 대출을 이용하는 전세 세입자들의 부담을 높입니다. 이에 따라 전세 세입자들 중 일부는 매매로 전환하거나, 저렴한 매매물을 찾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전세 세입자들의 매수 수요와 함께, 전세 임대주택 소유자들 중 일부도 매매로 전환하거나, 재투자를 위해 매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를 높이는 요인이 됩니다.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향후 전망은?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는 앞으로도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있습니다.

첫째, 신규공급이 계속되면서, 매수자들의 선택 폭이 넓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는 올해 서울에 5만 가구 이상의 신규분양을 진행할 계획이며, 다양한 규모와 위치의 아파트가 공급될 것으로 보입니다.

둘째, 금리 인상이 지속되면서, 전세난 해소 기대감이 강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은행은 올해 내에 추가적인 금리 인상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는 대출 이자 부담을 높일 것입니다.

따라서 전세 세입자들과 임대주택 소유자들의 매수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셋째, 부동산 시장의 회복심리가 확산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 6월 5월보다 0.17% 상승하면서, 2개월 연속 오르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지난해 8월 정부의 강력한 규제 이후 처음으로 나타난 현상입니다. 이러한 가격 상승은 매수자들의 구매 의사를 높일 수 있습니다.


마무리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가 20주 연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는 정부의 신규공급 증가, 금리 인상에 따른 전세난 해소 기대감, 부동산 시장의 회복심리 등이 영향을 미쳐 발생한 현상입니다.

앞으로도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는 상승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서울 아파트 가격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20주 연속 상승… 지방은 소폭 하락
꿈틀대는 매수심리… 서울 매매수급지수 1년 만에 최고치
1년 반 만에 '집값 상승' 시그널… 돌아온 30대 '영끌족'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20주 연속 상승, 노도강 오르고 강남 3구는 하락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20주 연속 상승… 지방은 소폭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