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면 쏠쏠한 이야기

전농 8구역 재개발의 문제점과 대안

Lena Jo 2023. 7. 11. 16:28

전농 8구역 재개발의 문제점과 대안 

 

 

전농 8구역 재개발이란 서울 동대문구 전농동 204번지 일대 93,697㎡의 규모로 진행되는 재정비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지하 2층~지상 20층, 총 1791 가구 (임대 포함)로 구성되며, 2021년 12월 8일 조합설립 인가를 받았습니다.
 
이 글에서는 전농 8구역 재개발의 문제점과 대안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재개발의 문제점

전농 8구역 재개발은 오랜 시간 동안 정체되어 왔습니다. 이 구역은 2005년 추진위가 설립되었으나, 사업성 문제와 일몰제 위기 등으로 사업이 지체되었습니다. 일몰제란 일정 기간 내 재건축·재개발사업이 진행되지 않는 사업장에 대해 시·도지사가 직권으로 정비구역 지정을 해제하는 것을 뜻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농 8구역 재개발은 총 가구 수를 기존 1515 가구에서 1791 가구로 276 가구 확대하는 내용을 담은 재정비촉진계획 변경을 요청했습니다. 이는 재개발 사업의 경제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전농 8구역 재개발에는 여전히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습니다.

  • 주민들의 의견 차이와 반대 운동: 전농 8구역 재개발은 주민들의 의견 차이와 반대 운동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소모했습니다. 일부 주민들은 재개발로 인한 토지 수용과 보상, 공공시설 부족, 환경오염 등에 대해 우려를 표현하며 사업에 반대했습니다. 또한, 일부 주민들은 공공재개발이나 신속통합기획 등 다른 정비사업 방식을 선호하며 민간주도 재개발에 반대했습니다. 이러한 주민들의 의견 차이와 반대 운동은 재개발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 사업 기간과 비용의 증가: 전농 8구역 재개발은 사업 기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에 직면했습니다. 사업 기간은 최초 예상보다 약 10년 이상 늦어지고 있으며, 비용도 토지 수요와 공사비 등의 상승으로 인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재개발 사업의 경제성과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 주변 환경과 인프라의 부족: 전농 8구역 재개발은 주변 환경과 인프라의 부족에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에 직면했습니다. 전농 8구역은 청량리역과 가까운 교통 허브로서의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학군과 공원 등의 주거 환경과 복지 시설은 상대적으로 미흡합니다. 또한, 재개발로 인해 인구 밀도가 증가하면서 교통 체증과 소음, 미세먼지 등의 환경오염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주변 환경과 인프라의 부족은 재개발 사업의 품질과 만족도를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2. 재개발의 대안

전농 8구역 재개발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대안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주민들의 의견 수렴과 소통 강화: 전농 8구역 재개발은 주민들의 의견 수렴과 소통을 강화하여 사업에 대한 합의와 지지를 확보할 필요가 있습니다. 재개발 사업의 목적과 과정, 효과와 비용, 보상과 혜택 등에 대해 주민들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주민들의 우려와 요구사항을 반영하고, 주민들의 참여와 협력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재개발조합과 추진위원회, 정부와 지자체, 전문가와 시민단체 등이 협력하고 소통하는 체계를 구축하고 운영할 필요가 있습니다.

 

  • 사업 기간과 비용의 최적화: 전농 8구역 재개발은 사업 기간과 비용을 최적화하여 사업의 경제성과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사업 기간은 주민 동의율 확보, 조합설립 인가, 재정비촉진계획 변경 등의 절차를 신속하게 처리하고, 공사 착공과 완공을 원활하게 진행하여 단축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업 비용은 토지 수요와 공사비 등의 변동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하고, 재정비촉진계획 변경으로 인한 가구수 증가 등의 방법으로 증대할 필요가 있습니다.

 

  • 주변 환경과 인프라의 개선: 전농 8구역 재개발은 주변 환경과 인프라의 개선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습니다. 주변 환경은 학군과 공원 등의 주거 환경과 복지 시설을 확충하고, 교통 체증과 소음, 미세먼지 등의 환경오염을 줄이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인프라는 청량리역과 연계하여 교통·상권·문화 등 다양한 인프라는 청량리역과 연계하여 교통·상권·문화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복합도시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재개발조합과 추진위원회, 정부와 지자체, 전문가와 시민단체 등이 협력하고 소통하는 체계를 구축하고 운영할 필요가 있습니다.

 

참고: 

 

전농뉴타운 '마지막 퍼즐' 8구역 사업 본격화

전농뉴타운 '마지막 퍼즐' 8구역 사업 본격화, 조합설립 동의율 75% 확보 추진위 "9월 조합설립 총회" GTX 청량리역 개발 수혜지역 "6억~8억 매물 대기 수요 많아" 전농7, 11구역 등 재개발 완료 대규

www.hankyung.com

 

전농뉴타운 '마지막 퍼즐' 8구역 사업 본격화

전농뉴타운 '마지막 퍼즐' 8구역 사업 본격화, 조합설립 동의율 75% 확보 추진위 "9월 조합설립 총회" GTX 청량리역 개발 수혜지역 "6억~8억 매물 대기 수요 많아" 전농7, 11구역 등 재개발 완료 대규

www.hankyung.com

 

'청량리역 개발 수혜' 전농 8·12구역 조합설립

'청량리역 개발 수혜' 전농 8·12구역 조합설립, 12구역, 이달중 조합 인가 신청 동의율 77% 넘어…297가구 건립 8구역 재개발, 1515가구로 변신 전농구역엔 주상복합 1122가구 "10억원 넘는 대형 매물만

www.hankyung.com

 

전농8구역  재개발 본격화…지상 20층 1515가구 건설

[에너지경제신문 김기령 기자]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역 인근 전농·답십리뉴타운 일대가 재개발로 들썩이고 있다. 재개발 사업이 더디게 진행됐던 전농8구역에서 최근 재개발정비사업조합이..

www.ekn.kr